분류 전체보기 62

봉안당/납골당/매장으로 오래된 고인을 뿌려드리는 실제 상담 내용 - 마을장의사

안녕하세요, 마을장의사입니다.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낸 뒤, 남은 유골을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희는 지난 수년간 봉안당(납골당) 유골 정리부터 자연장까지, 가족들의 마음을 헤아리며 도움을 드려왔어요. 이번에는 한 회원님께서 15년 된 남편분 유골과 40년 된 아버님 산소를 자연으로 돌려보내고 싶다며 상담을 요청하셨습니다. 윤달을 앞두고 어떤 선택이 최선일지, 함께 나눈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비슷한 2025년 윤달 개장을 고민을 하시는 분들께 작은 힘이 되길 바랍니다.회원님: 여보세요, 저는 인터넷에서 마을장의사 번호 보고 전화드렸어요.마을장의사: 네, 안녕하세요. 어떤 도움을 드릴까요? 회원님: 다름이 아니라, 궁금한 게 있어서요. 저희 남편 유골을 납골당에 모셔놨는데, ..

마을장의사 2025.02.21

자연애숲 수목장 장례 경험담 – 장점과 단점 솔직 후기 - 마을장의사

안녕하세요. 장례지도사가 직접 상담/진행하는 후불상조 마을장의사입니다.오늘은 자연애숲 수목장에서 진행했던 장례 경험을 바탕으로, 수목장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수목장을 고려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자연애숲 수목장의 위치와 연락처는 아래 지도를 참고하세요.전경 사진은 글 하단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 수목장의 장점 – 자연 속에서 영원한 안식얼마 전, 한 가족의 장례를 자연애숲 수목장에서 진행했습니다. 그 과정을 함께하며 수목장이 가진 깊은 의미와 매력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어요.✔ 자연과 하나 되는 평온함고인이 한 그루의 나무가 되어 자연 속에서 영원히 살아간다는 개념은 가족들에게 큰 위로가 되었습니다. 도시의 소음에서 벗어나 고요한 숲에서 추모할 수 있다..

마을장의사 2025.02.19

기초생활수급자 장례, 서울시립 용미리 잔디장으로 해결! (후불상조 꿀팁)

서울시립 용미리 잔디장 이용 상담 사례서울에 거주하는 기초생활수급자 가족분께서 용미리 서울시립잔디장 이용에 대해 문의 주셨던 실제 상담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장례 절차, 비용, 예약 여부 등이 궁금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실제 장례 절차나 비용은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1. 기초생활수급자의 장례 준비, 무엇이 가장 궁금할까?서울에 거주하는 기초생활수급자 가족분이 직접 문의해 주셨던 내용입니다.장례 비용과 절차용미리 서울시립잔디장 사용 방법예약 가능 여부기초생활수급자 혜택아래는 해당 문의에 대한 실제 상담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 것입니다.2. 상담 내용 Q&AQ. “기초생활수급자인데, 서울시립 장지를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마을장의사 2025.02.16

AI 봉건시대가 이미 시작됐다?! - 무료 vs 유료, 그 작은 차이가 만드는 미래

AI 봉건시대, 성(城) 안과 밖을 가르는 보이지 않는 벽요즘 AI(인공지능)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우리 일상 속에 깊이 스며들고 있습니다.처음에는 "와, 이런 것도 가능하네?" 정도로 놀라지만, 조금만 더 깊이 들여다보면 **‘AI 봉건시대’**가 시작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그 차이는 과연 어디에서 비롯될까요?바로 무료 AI와 유료 AI 간의 격차, 그리고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지만,뉴럴 임플란트 칩과 같은 미래 기술로 인해 ‘보이지 않는 성(城)’이 쌓이고 있기 때문입니다.오늘은 우리가 살고 있는 AI 시대의 보이지 않는 벽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1. 무료 AI vs 유료 AI, 단순한 차이일까?무료 AI✔ 기능 제한: 하루 사용 횟수나 속도 제한이 있을 수 있음✔ 데이터 한계: 최..

마을장의사 2025.02.15

상조회사 이용하면, 고인은 어떤 ‘수의’를 입게 될까? - 마을장의사

상조회사를 통해 장례를 준비하면, 대개 수의가 패키지에 자동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가족들은 흔히 “상조회사가 알아서 고급스러운 소재로 준비해주겠지”라고 생각하지만, 막상 확인해보면 매장용으로 적합한 고가 대마수의가 ‘표준’처럼 설정되어 있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이러한 상황은 과거에 매장이 일반적이었던 영향이 큽니다.​그렇지만 최근에는 화장이 보편화되면서, 굳이 매장에 초점을 맞춘 고가의 수의를 모두가 똑같이 필요로 하는 건 아닙니다.​결국, 상조회사가 제공하는 ‘기본 옵션’이 내 가족의 장례 방식(매장 vs 화장)과 맞는지를 따져보는 게 중요합니다.화장 시대에 꼭 알아두어야 할 똑똑한 선택!오늘날 장례의 상당수가 화장으로 진행됩니다.이런 문화에 맞추어, 저마·면·광목·인견 등 더 합리적인 소..

마을장의사 2025.02.14

벽제중앙추모공원에 고인의 봉안을 도와드렸습니다. - 마을장의사

장례는 가족에게 매우 개인적이고 중요한 시간이며, 각 가족의 특성과 요구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저희의 임무입니다. 오늘은 저희가 도움을 드린 한 고인의 봉안식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벽제중앙추모공원 선택의 이유고양시에 위치한 벽제중앙추모공원은 수도권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자연채광이 풍부한 원형 돔 설계와 함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곳은 유족들이 편안하게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고인이 생전에 원하셨던 품위 있는 마지막을 선사하기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이번 봉안식은 가족분들의 선택에 의해 이곳에서 진행되었습니다.​벽제중앙추모공원의 위치와 연락처는 아래 지도를 참고하세요.  장례지도사의 역할장례지도사로서 저는 가족분들이 장지 선택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

마을장의사 2025.02.12

납골당과 봉안당, 왜 용어가 바뀌고 있을까?

안녕하세요, 장례지도사 김광룡입니다.오늘은 장례 문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납골당’과 ‘봉안당’이라는 용어에 대한 생각해보려 합니다. 예전에는 ‘납골당’이라는 표현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봉안당’이라는 단어가 더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단순한 단어의 차이처럼 보이지만, 이 변화는 우리 사회가 고인을 모시는 방식과 장례 문화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발전시키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1. 납골당과 봉안당, 어떤 차이가 있을까?① 납골당(納骨堂)의 의미‘납골당’은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용어로, 한자어를 그대로 해석하면 ‘유골을 넣는 건물’이라는 뜻입니다.​納(납): 넣다, 보관하다骨(골): 뼈, 유골堂(당): 건물, 집​즉, 납골당이라는 용어는 유골을 안치하는 기능적인 역할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과..

마을장의사 2025.02.11

쳇지피티 위젯의 사진찍어 설명해달라고 하기.

방바닥을 뒹굴다 문득 휴대폰의 쳇지피티 위젯을 보았습니다.​아무생각없이 첫번째 카메라 버튼을 누르고 티브이를 찍고 '설명해주세요'라고 질문을 했습니다.​그리고 아래와 같은 답이 왔습니다. 이 이미지는 TV 화면을 촬영한 것으로 보이며, 한국 예능 프로그램 ****의 한 장면입니다. 화면에는 검은색 후드를 입은 남성이 앉아 있으며, 손에 무언가를 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자막에는 **"아~ 이게..."**라는 문장이 표시되어 있으며, 화면 왼쪽 상단에는 **" 가운을 지켜라"**라는 문구가 있습니다.​이 장면은 해당 예능 프로그램 내 특정 게임이나 상황에서 촬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는 출연진들이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는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으로, 특유의 유머와 개그 요소가 많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

마을장의사 2025.02.07

청림추모공원 방문기 – 장례를 도와드리며 다녀온 길

최근 장례를 진행하면서 유가족분들과 함께 청림추모공원에 고인의 안장을 도와드렸습니다. 청림추모공원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왕릉들이 자리 잡고 있어 더욱 경건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청림추모공원의 위치와 환경청림추모공원은 ‘송능(松陵)’이라는 지명이 말해주듯 소나무와 왕릉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겨울철 방문했을 때에는 눈 덮인 산세가 더욱 운치 있게 다가왔으며, 자연과 조화롭게 어우러진 명당으로 평가받는 곳이었습니다.또한, 봉인사가 가까이 있어 방문객들에게 위로를 주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이곳에는 석가모니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으며, **봉인사 부도암 사리탑(보물 928호)**이 있어 역사적 의미까지 더하고 있습니다.청림추모공원의 시설과 ..

마을장의사 2025.02.05

이미지 파일 이동 PC 앱! 처음 만들어본 시니어 실버용 프로그램

안녕하세요, 마을장의사입니다.오늘은 제가 직접 만든 이미지 정리 프로그램을 올려봅니다.저는 코딩에 대한 지식이 1도 없습니다.지금도 전혀 없습니다. 😅 ​하지만 요즘 ChatGPT가 코딩을 도와준다는 이야기를 듣고,"나도 한 번 해볼까?" 하는 마음으로 연습 삼아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다운로드 폴더에 파일이 너무 많아지면 폴더를 여는 것조차 느려지고, 필요한 파일을 찾기가 어려워지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그래서 컴퓨터 초보자뿐만 아니라 중·노년층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미지 파일만 자동으로 이동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글씨도 크게 하고, 버튼도 명확하게 배치해서 한눈에 기능이 보이도록 했습니다.투박하고 부족한 점이 많지만, 폴더에서 이미지 파일만 찾아 지정한 다른 폴더로 자동..

마을장의사 2025.02.04